
차장검사 역임 · 검사 역임
유병두 대표변호사
군법무 / 상관모욕
헌병대나 군검찰의 수사에 진술 준비를 철저히 하고, 동시에 군 내부 징계 절차가 병행되는 경우에는 이중처벌 금지원칙 위배 여부, 징계 절차의 비례성·형평성 위반 여부 등을 검토하여 병행 대응 전략을 수립합니다.
녹음, 카카오톡 대화, 제3자 진술, 근무 중 상황 등 당시 정황을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확보하고, 직무상 불합리나 정당한 문제제기 맥락이 있었는 경우 이는 표현의 자유 또는 고충제기 권리로서 방어 논리를 강화합니다.
모욕으로 지목된 언행이 언제, 어떤 맥락에서, 누구에게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발언의 대상, 전달 방식(직접, 제3자 전언, SNS 등), 장소(공적/사적) 및 감정적 표현의 정도 등을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기소 시 군사법원 공판에서 발언의 맥락, 경미성, 반성 여부 등을 강조하여 감경 전략을 마련하고, 유죄 시 전역·진급·인사평정 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복무기록 정정, 탄원서 제출 등 후속 조치도 검토합니다.
해당 발언이 상관모욕죄의 구성요건인 ‘공공연히’, ‘상관을 모욕’한 것에 해당하는지를 검토하고, 일상적 불만 표현인지, 사실 표현인지, 비하·경멸의 의도가 있었는지를 구별하여 법리적 방어 논리를 구성합니다.
군사경찰 또는 군검찰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피해 사실을 진술하고, 조사 중 또는 이후 군 내 명예 회복 및 복무환경 개선을 위한 인사조치, 공식 사과 등 보호 및 회복 조치도 요청합니다.
군사법원 공판 시 참고인 출석 또는 피해자 의견서 제출 등을 통해 형량 의견을 개진하고, 사건 종료 후에도 해당 사건으로 인한 인사상 불이익, 조직 내 고립, 심리적 스트레스 등에 대한 후속 지원 방안을 병행 검토합니다.
당시 상황에 대한 피해자의 상세 진술서, 목격자 진술, 문자메시지·SNS 캡처, 녹음파일, 생활지도 기록 등을 확보하여 수사기관에 제출할 수 있도록 정리합니다. 필요시 탄원서나 지휘계통 의견서도 병행합니다.
피의자의 발언 또는 행동이 있었던 구체적 상황(장소, 시간, 표현 내용, 대상, 전달 매체 등)을 상세히 정리하고, 직접적 언행 외에도 전언, 게시글, 메신저 등 간접 표현도 포함하여 정황을 문서화합니다.
해당 발언이 제3자나 부하들이 있는 자리에서 이루어졌는지, 지휘권 또는 명령체계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중심으로 ‘공공연히’ 요건 충족 여부를 검토하고, 모욕에 해당하는지 법리적 판단 기준을 적용합니다.
법무법인 YK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