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재은 파트너변호사
부동산·건설 / 임대차
임대차 분쟁은 계약 내용뿐 아니라, 관련 법령상 강행규정 및 사회적 보호 장치의 적용 여부가 핵심 쟁점이 됩니다.
-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가능 여부(기간 요건 및 정당한 거절 사유 존재 여부)
- 보증금 반환 시기 및 차임 연체·원상복구 비용과의 상계 여부
- 계약서상 특약의 유효성(예: 자동갱신 배제, 계약해지 조항 등)
- 상가 임차인의 권리금 보호 청구 가능성 및 권리금 회수 방해 여부
- 임차권등기명령을 통해 퇴거 전 보증금 회수를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
특히 계약 해지 후에도 임차인이 자진 퇴거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물인도청구 및 강제집행 절차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약서상 조건과 임차인의 연체 여부, 계약갱신 요구 가능성 등을 확인하고 해지 요건을 충족했는지 검토합니다.
해지 의사 표시 및 정당한 해지 사유를 문서화하고, 보증금 정산 금액 및 상계 항목(원상복구, 연체료 등)을 정리합니다.
판결 확정 후 강제집행을 위한 현황조사, 점유자 파악, 집행관 협조 등을 진행합니다.
명도소송 전 단계로, 퇴거 요청 및 보증금 정산 제안을 내용증명 등으로 전달하고 협의 여지를 남겨둡니다.
임차인이 퇴거를 거부할 경우, 건물인도청구소송과 함께 상계 항목 중심의 방어 전략을 구성합니다.
보증금 반환이 지연되는 경우, 임차권등기명령을 통해 권리를 보존하고 이사를 진행할 수 있는지 검토합니다.
임대인이 반환을 거부하거나 과도한 손해배상·상계 주장을 하는 경우 소송을 통한 청구 및 반박 자료 확보가 필요합니다.
계약 갱신 요구는 계약 만료 6개월 전~1개월 전 사이에 행사해야 하며, 임대인이 정당한 거절 사유 없이 거절할 경우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
퇴거 이후 보증금 반환을 위한 차임 완납, 원상복구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분쟁 발생 시 이를 입증할 자료를 준비합니다.
상가의 경우, 권리금 회수 기회 방해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 여부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법무법인 YK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