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갈죄는 단순한 협박을 넘어 실질적 재산 침해를 동반한 범죄로서, 사업자 간 갈등, 채권추심, 유튜브 콘텐츠 협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시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언론 협박, 성착취 협박, 허위 고소를 빌미로 한 경제적 요구 등 새로운 형태의 공갈 행위가 등장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피해자의 경제적 약점을 노린 공갈 범죄에 대한 무관용 처벌 기조가 강해지고 있습니다. 행위자가 ‘정당한 권리 행사’임을 주장하더라도, 수단이 위법하거나 사회통념을 벗어난 경우 법적 책임이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공갈죄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감경ㆍ기본ㆍ가중요소가 반영된 형량의 기준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유형 | 구분 | 감경 | 기본 | 가중 |
---|---|---|---|---|
1 | 3,000만 원 미만 | ~ 8월 | 6월 ~ 1년 | 10월 ~ 2년6월 |
2 | 3,000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 | 4월 ~ 1년2월 | 10월 ~ 2년 | 1년6월 ~ 3년 |
3 | 1억 원 이상, 5억 원 미만 | 10월 ~ 3년 | 1년6월 ~ 4년 | 3년 ~ 7년 |
4 | 5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 | 1년6월 ~ 4년6월 | 3년 ~ 7년 | 5년 ~ 9년 |
5 | 50억 원 이상 | 3년 ~ 7년 | 5년 ~ 9년 | 7년 ~ 11년 |